3일동안 안보기

정보게시판

양궁 리커브의 작동원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마이티
댓글 0건 조회 167회 작성일 25-06-02 11:44

본문

양궁은 올림픽 종목 중에서도 한국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특히 올림픽에서 사용되는 **‘리커브 보우(Recurve Bow)’**는 일반적인 활과는 구조적으로 확연히 다릅니다.
활 끝이 반대로 굽어진 형태의 이 리커브 활은 왜 이렇게 생겼을까요?
그 구조는 단순히 멋을 위한 것이 아닌, 정확도와 파워를 위한 과학적인 설계입니다.

오늘은 리커브 보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 구조가 양궁 경기에서 어떻게 정확도를 높이는지
물리학적 원리, 구조 요소,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설명하겠습니다.


  1. 리커브 보우란 무엇인가 – 구조의 특징

리커브 보우는 활의 양쪽 팁, 즉 끝부분이
사수 방향과 반대로 굽어 있는 형태의 활입니다.
이는 ‘리커브(re-curve)’라는 단어 그대로
‘다시 굽어진’ 모양을 의미합니다.

이 굴곡이 만들어내는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활대를 당길 때 저항이 비선형적으로 커지며

  • 발사 순간 활의 끝부분이 역방향으로 ‘스냅’처럼 튕기면서

  • 에너지를 화살에 더 많이 전달하게 됩니다.

즉, 같은 양의 힘을 들여 당겼을 때
일반적인 롱보우보다 더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인 것입니다.

이런 구조는 고대 아시아와 중동의 복합궁에서 유래한 형태이며,
현대에는 탄소, 알루미늄, 폼코어 등의 첨단 소재로 진화하여
더욱 정교하고 강력한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1. 작동 원리 – 에너지 저장과 전달의 효율성

양궁에서 중요한 것은
‘얼마나 정확히’와 ‘얼마나 빠르게’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화살에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의
양과 방향에 의해 결정됩니다.

에너지 저장 – 비선형적 증가
활을 당길수록 리커브 구조는 더 큰 저항력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즉, 똑같이 28인치(약 71cm)를 당겼다고 해도
리커브 보우는 일반 활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스냅 백(snap back) 효과
활을 놓는 순간, 굽어진 끝부분이
빠르게 앞쪽으로 튀어나가며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화살에 전달합니다.
이때 활의 끝부분이 만들어내는 빠른 회복력과 탄성력이
발사 속도를 높이고, 화살의 직진성을 강화합니다.

균형 잡힌 파워 분산
곡선이 있는 구조는
에너지를 한 지점이 아닌
전체 활대에 고르게 분산시켜
진동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합니다.
이것이 곧 정확도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1. 리커브 보우의 주요 구성 요소와 기능

핸들(그립 또는 라이저)
사수가 손으로 잡는 중심부입니다.
현대 리커브 보우는 알루미늄이나 탄소 복합재로 제작되어
가볍고 강하며 비틀림에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림(limb)
활의 상단과 하단 날개 부분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발사 시 추진력을 제공합니다.
림은 활의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대개 분리형(테이크다운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스트링(string)
화살을 끼우고 당기는 줄입니다.
폴리에스터, 다이니마 등 고강도 합성섬유로 만들어져
늘어나지 않으며 고속 수축이 가능합니다.

사이트(sight)
조준을 돕는 기계식 장치로
사수가 정확한 목표 지점을 잡을 수 있도록 합니다.

클리커(clicker)
정확한 당김 길이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사수가 일정한 길이까지 활을 당기면
‘딸깍’ 소리가 나며 쏠 타이밍을 알려줍니다.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활의 균형을 잡고 발사 후 진동을 줄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보조 장치입니다.


  1. 리커브 보우가 만들어내는 정확도 – 진동 제어의 미학

화살을 쏠 때
활은 수축과 복원 과정에서
강한 진동을 만들어냅니다.

이 진동이 일정하지 않거나
활 전체에 비대칭으로 분포되면
화살이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게 됩니다.

리커브 보우는 다음의 기술로 이를 제어합니다.

  • 곡선 구조로 에너지 분산

  • 스태빌라이저로 중심 유지

  • 클리커로 정확한 당김 타이밍 확보

  • 사이트로 정밀 조준 보조

이러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수의 손 떨림, 당김 차이, 조준 오차 등을 최소화하고
경기에서 거의 동일한 조건의 반복 발사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것이 바로 한국 양궁이 세계 최정상급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기도 합니다.


  1. 리커브 보우 vs 컴파운드 보우 – 구조적 차이와 원리 비교

리커브 보우는
근육의 힘만으로 활을 당기고 쏘는 방식이며
숙련자의 조정 능력이 중요합니다.
숙달되면 70m 거리에서도 동전을 맞힐 수 있는 정밀함을 자랑합니다.

반면 컴파운드 보우
풀리와 케이블 구조를 이용하여
당기는 힘은 줄이고
정확도는 기계적으로 보완하는 방식입니다.
조준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근력 소모가 적고 초보자도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올림픽 공식 종목은 리커브 보우이며
인간의 집중력과 기술력이 최대한 발휘되는 구조입니다.


  1. 결론 – 단순한 활이 아닌, 정밀한 기계장치

리커브 보우는 그 구조만 보더라도
단순한 나무 활을 넘어서
과학과 인체역학, 공학, 물리학이 결합된
정밀 기계장치이자 스포츠 도구입니다.

  • 에너지를 저장하고

  • 최대한 정확히 전달하며

  • 사수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 반복성과 정밀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설계

이런 요소 하나하나가
리커브 보우의 작동 원리를 완성합니다.

다음번에 양궁 경기를 볼 때는
단순히 화살이 과녁에 꽂히는 장면만 보지 말고
그 배경에 있는 기술, 구조, 작동 원리를 함께 떠올려 보세요.
한 발 한 발에 쏟아지는 집중력과 과학의 결합이
결코 단순하지 않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건 1 페이지
  • RSS
정보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3
인포머 07-29 31
인포머 31 07-29
32
인포머 07-29 26
인포머 26 07-29
31
인포머 07-10 101
인포머 101 07-10
30
인포머 07-10 92
인포머 92 07-10
29
인포머 07-09 95
인포머 95 07-09
28
인포머 07-09 94
인포머 94 07-09
27
인포머 06-09 170
인포머 170 06-09
26
인포머 06-09 191
인포머 191 06-09
25
인포머 06-06 172
인포머 172 06-06
24
인포머 06-06 164
인포머 164 06-06
23
오희햐 06-02 167
오희햐 167 06-02
22
오희햐 06-02 154
오희햐 154 06-02
21
오희햐 06-02 166
오희햐 166 06-02
20
마이티 06-02 185
마이티 185 06-02
열람중
마이티 06-02 168
마이티 168 06-02

검색

회원 로그인

포인트랭킹

1 코피오 459점
2 마이티 440점
3 오희햐 430점
4 골키퍼 170점

검색랭킹

접속자집계

오늘
21
어제
115
최대
348
전체
8,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