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색깔이 차이가 나는 이유 – 푸른 바다와 회색 바다의 과학적 차이
페이지 정보

본문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찾습니다.
푸른 바다, 에메랄드빛 바다, 짙은 남색 바다, 혹은 회색빛 바다.
어떤 날은 파랗고 투명하게 보이던 바다가 어느 날은 뿌옇고 칙칙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처럼 바다의 색깔은 장소나 날씨, 시간에 따라 정말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왜 바다는 이렇게 색이 달라 보이는 걸까요?
단순히 하늘을 비춘다고 보기엔 너무나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는 바다의 비밀을 하나하나 풀어보겠습니다.
우선 많은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떠올리는 바다의 색, 즉 '파란 바다'는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햇빛은 여러 가지 색깔로 이루어진 빛의 혼합입니다.
이 빛이 물속에 들어가면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계열이 다른 색들보다 더 깊이 침투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눈은 파란색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바다는 일반적으로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바다는 하늘색을 반사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지만 이는 일부에 해당하며, 물이 빛을 어떻게 흡수하고 산란시키는지가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하지만 모든 바다가 항상 푸르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같은 장소라도 날씨에 따라, 시간대에 따라, 혹은 계절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입니다.
흐린 날이나 비 오는 날에는 하늘이 회색빛을 띠기 때문에 바다도 탁하고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빛의 반사가 줄어들고, 주변 환경의 색상이 바다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투명하거나 맑은 색보다는 흐릿하고 탁한 색이 두드러집니다.
또한 바다의 깊이도 색에 큰 영향을 줍니다.
얕은 바다는 빛이 바닥까지 도달해 반사되기 때문에 밝고 투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깊은 바다는 빛이 흡수되면서 어두운 남색, 짙은 청록색 등으로 보입니다.
하와이나 몰디브처럼 바닷물이 맑고 수심이 얕은 지역의 바다는 흔히 에메랄드색 혹은 옥색처럼 보이는데, 이는 바닥의 모래 색과 빛의 반사가 함께 작용한 결과입니다.
바닥이 하얀 산호나 밝은 모래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빛이 반사되며 바닷물이 더욱 맑고 밝게 보입니다.
또 다른 요소는 바닷물 속에 떠다니는 입자입니다.
플랑크톤, 조류, 미세한 침전물 등이 많을 경우 바닷물은 혼탁해지고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유물이 많은 항구나 강 하구 근처의 바다는 갈색이나 녹색을 띠며, 때로는 황톳빛으로 탁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녹조가 많이 발생한 바다는 실제로 녹색에 가까운 색을 띠고, 적조가 발생하면 붉은빛을 띠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바닷물의 생물학적 상태가 시각적으로 반영된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형과 바다 밑 바닥의 상태도 색에 영향을 줍니다.
바닥이 모래로 이루어졌는지, 자갈인지, 해조류가 있는지에 따라 색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심지어 근처 암석의 색상도 반사광에 영향을 줘 바다의 색을 다르게 느끼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흑사장이 있는 해안에서는 바닷물이 더 어두워 보이기도 합니다.
계절 변화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여름에는 햇빛이 강하고 일조량이 많기 때문에 바다가 더욱 맑고 푸르게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겨울에는 햇빛의 각도가 낮고 기온도 떨어지기 때문에 바다가 잿빛에 가깝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에는 조류나 미생물의 번식이 활발하여 바다색이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침과 저녁의 태양빛 각도에 따라서도 바다색은 바뀝니다.
낮에는 태양빛이 수직으로 내리쬐기 때문에 빛이 바다에 직접적으로 도달하여 투명하게 보이지만
아침이나 해질 무렵에는 빛이 비스듬하게 들어와 바다가 황금빛, 주황빛, 붉은빛으로 물드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서해안 지역에서는 석양이 바다에 반사되며 붉은 바다가 연출되는데 이는 사진으로도 많이 담기는 장면입니다.
간혹 바다가 보랏빛, 심지어는 회색이 아닌 검은색처럼 보일 때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대부분 날씨가 흐리거나 구름이 두껍게 낀 상태에서 태양광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바다의 고유 색보다 음영만 두드러지는 경우입니다.
또는 바람이 강하게 불어 바다 표면이 거칠어지면 물결에 의해 빛 반사가 분산되면서 검게 보이기도 합니다.
지역적 특성도 바다 색깔의 다양성에 영향을 줍니다.
동해안은 비교적 깊고 조류가 빠르며 바위 지형이 많아 짙은 파랑이나 남색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남해는 비교적 잔잔하고 수온이 높아 푸르지만 다소 탁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서해는 갯벌과 강 유입이 많아 회색이나 갈색빛 바다가 많습니다.
제주는 해저가 산호나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색의 변화가 뚜렷하고, 날씨에 따라 바다색의 표현이 극단적으로 갈리는 편입니다.
요즘은 항공사진이나 드론 촬영 등을 통해 바다의 색을 위에서 보는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이 경우 바다색은 더 극명하게 다르게 보입니다.
그 이유는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바다의 깊이, 투명도, 바닥 구조, 수온 등에 따라 색이 구분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도를 볼 때 해양색이 구역마다 다른 것도 모두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바다의 색은 결국 수많은 요소가 작용하는 복합적 결과입니다.
햇빛, 날씨, 바닥, 지형, 생물, 계절, 시간, 그리고 보는 사람의 시각적 조건까지도 모두 영향을 줍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매번 바다를 볼 때마다 새로운 느낌을 받고
때로는 파랗고, 때로는 녹색이고, 때로는 잿빛으로 물든 그 풍경에 감탄하게 되는 것입니다.
바다의 색은 변하지만 그 안에 담긴 자연의 질서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 다양한 색의 차이는 오히려 바다가 살아 있다는 증거이고
매번 달라지는 모습 속에서 우리는 삶의 변화와 다채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다음 바다를 마주하게 된다면, 그 색이 왜 그런지 한 번쯤 생각해보는 것도 여행의 깊이를 더해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