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플라스틱, 다 똑같지 않습니다 – 종류별 재활용 구분법 완전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편의점에서 음료 하나 사 마셔도, 포장 음식 시켜 먹어도, 택배를 받아도 우리는 늘 플라스틱과 함께 살아간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은 너무나 손쉽게 쓰고 버려지는 만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이 플라스틱들이 어떤 재질인지, 어떻게 분류되고 처리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무심코 버리기 일쑤다.
겉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플라스틱이라도 종류에 따라 성질도 다르고, 재활용 가능 여부도 천차만별이다.
플라스틱 용기를 아무렇게나 분리배출하면 오히려 재활용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 심하면 전량 소각 처리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오늘은 꼭 알아야 할 일회용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구분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보겠다.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에 1번부터 7번까지 숫자가 적힌 ‘재질 기호’를 붙이고 있다.
이 숫자만 잘 확인해도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방법을 구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자.
1번: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대표적인 예: 생수병, 탄산음료병
PET는 투명하고 가벼우며, 내용물을 잘 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어 음료병 등에 주로 쓰인다.
재활용이 비교적 잘 되는 플라스틱으로, 깨끗이 세척하고 라벨을 제거한 후 투명한 병만 따로 분리하면 고급 원료로 다시 사용된다.
최근에는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제’가 시행되면서 이 PET병을 무색으로, 라벨은 제거해서 따로 모으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주의할 점은 기름기나 이물질이 묻은 PET는 재활용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2번: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대표적인 예: 우유병, 세제통, 샴푸용기
HDPE는 단단하고 질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내용물이 무겁거나 액체인 경우에 많이 쓰인다.
색깔이 들어간 제품이 많고, 재활용 시 색상에 따라 선별이 필요하다.
깨끗이 헹궈서 내용물 제거 후 플라스틱류로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라벨, 뚜껑 등이 다른 재질일 경우 분리해주는 것이 좋다.
3번: PVC (Polyvinyl Chloride)
대표적인 예: 식품 포장랩, 일부 음료캡, 카드, 병뚜껑 씰
PVC는 재활용이 거의 되지 않는 재질이다.
고온에서 소각 시 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매우 주의가 필요하다.
재활용 시스템에서도 꺼리는 재질이므로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맞다.
특히 식품 포장용 랩은 대부분 PVC거나 PVDC라는 유사재질로 되어 있어 재활용이 불가하다.
4번: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대표적인 예: 비닐봉지, 과자 포장지, 우유팩 내부 코팅
LDPE는 부드럽고 말랑한 플라스틱으로, 포장재로 많이 쓰인다.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오염도가 높고, 혼합 재질인 경우가 많아 선별이 어렵다.
비닐류로 배출하되 깨끗하게 분리한 경우에 한해서 일부 재활용된다.
기름기, 음식물 등이 묻은 비닐은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세척이 필요하다.
5번: PP (Polypropylene)
대표적인 예: 일회용 도시락 용기, 컵라면 용기, 요구르트 병, 플라스틱 빨대
PP는 내열성이 좋아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용기 등에 자주 쓰인다.
재활용도 잘 되는 편이지만 역시 이물질이 묻은 경우 처리율이 떨어진다.
일회용 도시락 용기의 경우 음식물 찌꺼기 제거가 필수이며, 내부 칸막이 트레이와 뚜껑 재질이 다를 수 있어 구분해서 버려야 한다.
6번: PS (Polystyrene)
대표적인 예: 스티로폼, 일회용 접시, 컵, 트레이
PS는 가볍고 단열성이 뛰어나 냉동식품 포장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재활용이 매우 어려운 재질이다.
부피는 큰데 비해 실질적인 회수율은 낮고, 오염되기 쉬워 대부분 소각 처리된다.
스티로폼 중에서도 흰색으로 깨끗한 상태일 경우 일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색이 있거나 이물질이 묻은 경우는 일반 쓰레기로 분류된다.
7번: 기타 (Other)
대표적인 예: 멀티 재질 제품, 트라이탄, PC, PLA, 복합재질 포장재
7번은 말 그대로 위 1~6번에 해당하지 않는 재질이거나, 두 가지 이상의 재질이 섞여 있는 복합재질을 뜻한다.
재활용이 거의 되지 않으며, 대부분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된다.
PLA처럼 친환경이라 불리는 바이오 플라스틱조차도 현행 분리배출 체계에서는 처리 시설이 없어 일반쓰레기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멀티레이어 포장재(예: 스낵 봉지, 커피 믹스 포장 등)는 겉은 비닐, 안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돼 있어 분리가 어렵다.
이처럼 플라스틱이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
종류마다 성질도 다르고, 재활용 방식도 크게 다르다.
무조건 플라스틱이라고 해서 한 통에 몰아넣으면 오히려 재활용 시스템 전체를 망가뜨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건 이물질 제거다.
깨끗하게 세척된 플라스틱만이 재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음식물이나 기름기가 조금이라도 묻어 있으면 다른 수거물까지 오염되어 전체가 폐기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제품을 살 때부터 재질을 확인하고, 최대한 단일재질로 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소비 습관이다.
분리배출이 용이하도록 라벨이 잘 떨어지게 설계된 제품이나 재질 표기가 명확한 용기를 선택하면 훨씬 수월하게 분리수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재활용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은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텀블러, 장바구니, 다회용 용기 사용을 생활화하고, 과대포장이 심한 제품은 피하는 등의 작은 실천이 모이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
요약하자면 플라스틱은 1번부터 7번까지 각기 다른 재질로 분류되며, PET, HDPE, PP는 재활용이 가능한 대표 재질이고, PVC, PS, 기타(7번)는 재활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세척과 분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오염된 플라스틱은 재활용 가치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우리가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면 자원은 순환하지만, 무심코 버리는 순간 그것은 곧 환경의 짐이 된다.
작은 습관의 변화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오늘부터라도 내가 쓰는 플라스틱, 어떤 번호인지 한 번쯤 확인해보는 습관을 가져보자.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은 너무나 손쉽게 쓰고 버려지는 만큼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지만, 정작 우리는 이 플라스틱들이 어떤 재질인지, 어떻게 분류되고 처리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무심코 버리기 일쑤다.
겉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플라스틱이라도 종류에 따라 성질도 다르고, 재활용 가능 여부도 천차만별이다.
플라스틱 용기를 아무렇게나 분리배출하면 오히려 재활용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 심하면 전량 소각 처리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오늘은 꼭 알아야 할 일회용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구분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보겠다.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에 1번부터 7번까지 숫자가 적힌 ‘재질 기호’를 붙이고 있다.
이 숫자만 잘 확인해도 플라스틱의 종류와 재활용 방법을 구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자.
1번: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대표적인 예: 생수병, 탄산음료병
PET는 투명하고 가벼우며, 내용물을 잘 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어 음료병 등에 주로 쓰인다.
재활용이 비교적 잘 되는 플라스틱으로, 깨끗이 세척하고 라벨을 제거한 후 투명한 병만 따로 분리하면 고급 원료로 다시 사용된다.
최근에는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제’가 시행되면서 이 PET병을 무색으로, 라벨은 제거해서 따로 모으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주의할 점은 기름기나 이물질이 묻은 PET는 재활용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2번: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대표적인 예: 우유병, 세제통, 샴푸용기
HDPE는 단단하고 질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내용물이 무겁거나 액체인 경우에 많이 쓰인다.
색깔이 들어간 제품이 많고, 재활용 시 색상에 따라 선별이 필요하다.
깨끗이 헹궈서 내용물 제거 후 플라스틱류로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라벨, 뚜껑 등이 다른 재질일 경우 분리해주는 것이 좋다.
3번: PVC (Polyvinyl Chloride)
대표적인 예: 식품 포장랩, 일부 음료캡, 카드, 병뚜껑 씰
PVC는 재활용이 거의 되지 않는 재질이다.
고온에서 소각 시 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매우 주의가 필요하다.
재활용 시스템에서도 꺼리는 재질이므로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맞다.
특히 식품 포장용 랩은 대부분 PVC거나 PVDC라는 유사재질로 되어 있어 재활용이 불가하다.
4번: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대표적인 예: 비닐봉지, 과자 포장지, 우유팩 내부 코팅
LDPE는 부드럽고 말랑한 플라스틱으로, 포장재로 많이 쓰인다.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오염도가 높고, 혼합 재질인 경우가 많아 선별이 어렵다.
비닐류로 배출하되 깨끗하게 분리한 경우에 한해서 일부 재활용된다.
기름기, 음식물 등이 묻은 비닐은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세척이 필요하다.
5번: PP (Polypropylene)
대표적인 예: 일회용 도시락 용기, 컵라면 용기, 요구르트 병, 플라스틱 빨대
PP는 내열성이 좋아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용기 등에 자주 쓰인다.
재활용도 잘 되는 편이지만 역시 이물질이 묻은 경우 처리율이 떨어진다.
일회용 도시락 용기의 경우 음식물 찌꺼기 제거가 필수이며, 내부 칸막이 트레이와 뚜껑 재질이 다를 수 있어 구분해서 버려야 한다.
6번: PS (Polystyrene)
대표적인 예: 스티로폼, 일회용 접시, 컵, 트레이
PS는 가볍고 단열성이 뛰어나 냉동식품 포장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재활용이 매우 어려운 재질이다.
부피는 큰데 비해 실질적인 회수율은 낮고, 오염되기 쉬워 대부분 소각 처리된다.
스티로폼 중에서도 흰색으로 깨끗한 상태일 경우 일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색이 있거나 이물질이 묻은 경우는 일반 쓰레기로 분류된다.
7번: 기타 (Other)
대표적인 예: 멀티 재질 제품, 트라이탄, PC, PLA, 복합재질 포장재
7번은 말 그대로 위 1~6번에 해당하지 않는 재질이거나, 두 가지 이상의 재질이 섞여 있는 복합재질을 뜻한다.
재활용이 거의 되지 않으며, 대부분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된다.
PLA처럼 친환경이라 불리는 바이오 플라스틱조차도 현행 분리배출 체계에서는 처리 시설이 없어 일반쓰레기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멀티레이어 포장재(예: 스낵 봉지, 커피 믹스 포장 등)는 겉은 비닐, 안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돼 있어 분리가 어렵다.
이처럼 플라스틱이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
종류마다 성질도 다르고, 재활용 방식도 크게 다르다.
무조건 플라스틱이라고 해서 한 통에 몰아넣으면 오히려 재활용 시스템 전체를 망가뜨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건 이물질 제거다.
깨끗하게 세척된 플라스틱만이 재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음식물이나 기름기가 조금이라도 묻어 있으면 다른 수거물까지 오염되어 전체가 폐기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제품을 살 때부터 재질을 확인하고, 최대한 단일재질로 되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소비 습관이다.
분리배출이 용이하도록 라벨이 잘 떨어지게 설계된 제품이나 재질 표기가 명확한 용기를 선택하면 훨씬 수월하게 분리수거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재활용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은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텀블러, 장바구니, 다회용 용기 사용을 생활화하고, 과대포장이 심한 제품은 피하는 등의 작은 실천이 모이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
요약하자면 플라스틱은 1번부터 7번까지 각기 다른 재질로 분류되며, PET, HDPE, PP는 재활용이 가능한 대표 재질이고, PVC, PS, 기타(7번)는 재활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세척과 분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오염된 플라스틱은 재활용 가치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우리가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면 자원은 순환하지만, 무심코 버리는 순간 그것은 곧 환경의 짐이 된다.
작은 습관의 변화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오늘부터라도 내가 쓰는 플라스틱, 어떤 번호인지 한 번쯤 확인해보는 습관을 가져보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