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했는데 더 찝찝한 냄새? 냄새 없는 세탁의 비밀, 지금부터 알려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빨래를 막 끝냈는데, 뽀송한 향기 대신 묘하게 쾌쾌하고 눅눅한 냄새가 날 때가 있다.
분명 세제를 제대로 넣었고, 헹굼도 이상 없었는데… 냄새는 왜 남을까?
사실 세탁기에서 꺼낸 빨래가 냄새나는 이유는 세탁 과정 자체보다 습기, 세균, 곰팡이와 관련된 문제가 크다.
특히 여름철이나 장마철, 통풍 안 되는 공간에서 말릴 경우 그 현상은 더 심해진다.
지금부터 빨래 냄새를 확실히 없애고, 향기까지 살아남는 세탁 꿀팁을 단계별로 알려드린다.
-
세탁기 안 냄새부터 의심하라
옷에서 나는 냄새가 아니라, 세탁기 내부에 남은 냄새일 수 있다.
특히 드럼세탁기의 고무패킹, 세제 투입구, 배수 필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곰팡이나 찌꺼기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한 달에 한 번은 ‘세탁조 청소 코스’를 돌리거나, 식초+베이킹소다 혹은 전용 세탁조 클리너를 사용해 내부를 관리해야 한다.
Tip:
세탁기 문은 사용 후 항상 열어두자. 습기가 마르지 않으면 곰팡이 냄새가 배게 된다.
-
세탁물은 모아두지 말고, 바로 세탁
입고 난 옷이나 수건을 세탁바구니에 며칠씩 모아두는 경우, 그 자체로 냄새의 원인이 된다.
특히 땀이 많이 묻은 운동복이나 수건은 세균이 빠르게 번식해 세탁해도 냄새가 남을 수 있다.
가능하면 하루 안에 세탁하거나, 장시간 보관해야 한다면 햇볕 잘 드는 곳에 펼쳐두는 게 낫다. -
세제는 많이 넣는다고 좋은 게 아니다
세제를 많이 넣으면 더 깨끗해질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잔여 세제가 옷감에 남아 냄새 원인이 된다.
특히 드럼세탁기의 경우, 소량의 고농축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세제양을 조절하고, 한 번 더 헹굼 설정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
식초 or 베이킹소다로 살균 효과 더하기
세탁할 때 섬유유연제 대신 소량의 식초를 넣으면 살균 및 탈취 효과가 있다.
또는 세탁물에 베이킹소다 한 스푼을 추가하면 찌든 냄새 제거에 효과적이다.
이 두 가지는 상호보완적이라 함께 써도 되지만, 반드시 소량만 사용해야 세탁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
세탁 후 30분 내에 꺼내서 말릴 것
세탁이 끝났다면 가장 중요한 건 즉시 꺼내는 것이다.
습기 찬 세탁기 안에 오래 두면 다시 세균이 번식하고, 냄새가 섬유에 배게 된다.
무조건 빨래가 끝나자마자 꺼내고, 널기 전에 한 번 ‘털어주는’ 동작도 중요하다.
옷감 사이의 공기를 빼주면 마르는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 -
환기 + 건조기 or 제습기 적극 활용
실내에서 빨래를 말릴 경우, 반드시 환기와 공기 순환이 필요하다.
특히 장마철에는 제습기를 틀어놓거나, 에어컨 드라이 기능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건조기가 있다면 뽀송한 향까지 지킬 수 있지만, 없다면 선풍기와 창문 개방만으로도 효과는 있다. -
섬유유연제는 마지막에, 조금만
섬유유연제를 많이 넣으면 향은 강해질지 몰라도 잔여물이 냄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너무 오래된 섬유유연제는 유분이 굳어 오히려 악취를 유발할 수 있다.
조금씩, 신선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빨래 냄새를 없애는 정리된 순서
-
세탁기 내부부터 청소하고 관리
-
입은 옷은 바로 세탁 or 통풍
-
세제는 적정량, 헹굼은 충분히
-
식초/베이킹소다로 살균 효과 추가
-
세탁 후 즉시 꺼내서 널기
-
환기, 제습기, 건조기 적극 활용
-
섬유유연제는 소량, 너무 오래된 건 폐기
향기 나는 옷은 단순히 세제에서 나오는 게 아니다.
옷을 제대로 말리고, 제대로 씻어야 진짜 '냄새 없음'이 가능하다.
지금 바로 세탁기 문을 열어보고, 고무 패킹에 곰팡이가 끼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자.
빨래 냄새는 관리의 문제지, 습도의 운이 아니다.
습기 많고 더운 계절일수록 더 신경 써야 할 세탁 루틴.
그 작은 습관 하나가 일상의 불쾌함을 확 줄여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